(66) ☞☞(적금_2차_서류)2021년 청년희망적금 추가모집 서류제출 안내(신청자 필독!)Ver.5☜☜
ver.1 2021. 05. 29. update
ver.2 2021. 05. 31. update
ver.3 2021. 06. 01. update
ver.4 2021. 06. 02. update
ver.5 2021. 06. 03. update
★ 서류제출 시 주의사항
- 파일명은 반드시 "서류명"으로 하고, 암호 걸린 서류는 파일명에 비밀번호를 기재해 주십시오.
(예) 주민등록등본(비번210529).pdf
- 서류는 출력물 스캔 또는 휴대폰 촬영, PC‧모바일 화면 캡처 등의 방법으로 제출 가능하나 모니터 화면 촬영본은 인정하지 않습니다.
* 파일 형식은 pdf, jp(e)g, png, hwp만 가능
- 모든 서류는 발급(작성)일이 명시되어야 하며, 공고일 이후 발급 서류만 인정합니다.
* 단, 졸업증명서, 근로계약서는 공고일 이전 발급분도 인정
1. 청년희망적금 사업신청 및 서류제출 방법
(1) 사업신청 및 서류제출 (PC, 모바일 모두 가능 / 단, 모바일로 접속할 경우 오류가 잦으니 PC 접속 권장)
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시스템(https://youthdream.daegu.go.kr/support/main) 접속 ⇒ 회원가입(SMS 수신동의 필수) 후 로그인 ⇒ 사업신청-청년희망적금 신청하기 ⇒ 개인정보 수집·이용·제공,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·조회에 관한 동의 ⇒ 질문에 대한 답변 체크 ⇒ 서류 제출 ⇒ 마이페이지-신청내역 조회 ⇒"①신청완료”확인
(2) "①신청완료” 후 서류보완
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시스템(https://youthdream.daegu.go.kr/support/main) ⇒ 로그인 ⇒ 마이페이지-신청내역 조회-신청 수정
(!) 회원가입 및 서류제출 시 오류가 날 경우 조치법
① 브라우저 변경 (익스플로러, 크롬, 파이어폭스, 엣지 등 다른 브라우저로 시도)
② 인터넷 쿠키 삭제 (방법은 블로그 참고 >> https://blog.naver.com/cecil1205/221528687165)
③ 디바이스 변경 (PC, 모바일 등 다른 기기로 시도)
⇒ ①, ②, ③ 다 해봐도 안될 경우 담당자에게 전화
(!) 본인 명의 휴대폰 없을 경우 회원가입 방법
① 타인 휴대폰 명의로 회원가입
② 홈페이지에서 사업 신청 완료
③ 본인 신분증 지참하고, 시청 별관(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, 111동 4층 청년정책과 청년생활팀) 방문하여 회원정보 변경
* 전화(803-2971) 연락 후, 방문하시기 바랍니다.
2. 서류별 발급방법(온라인 발급 위주)
① 본인 기준 「주민등록 등본」 (주소·연령 확인용)
★ "주민등록등본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주민등록등본(초본) 클릭 > 신청하기 > 주민등록상의 주소를 확인해 주세요 : 본인이 살고 있는 구로 선택(ex. 대구광역시 북구) > 발급형태를 선택해 주세요 : 발급 체크 > 수령방법을 선택해 주세요. : 온라인발급(본인출력) > 민원신청하기 > 문서출력 > 인쇄하기(즉시 발급)
② 본인 최종학력 「졸업(예정)증명서」·「휴학증명서」·「재학증명서」 중 해당서류 (재학 여부 확인용)
* 방통대, 사이버대 재학생만 재학증명서 제출 시 신청 가능
★ 초·중·고등학교 "졸업증명서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검색창에 졸업증명서 입력 > 초중등학교 졸업(예정)증명 신청 > 학교명 : 학교검색 클릭 후 학교 선택 > 수령방법 : 온라인발급(본인출력) > 민원신청하기 > 문서출력(즉시 발급)
★ 대학(교)·대학원 "졸업증명서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검색창에 졸업증명서 입력 > 대학(교) 졸업증명 신청 > 구분 : 대학(교), 대학원 중 선택 > 대학교(대학원) : 학교 검색 클릭 후 학교 선택 > 전공학과 : 입력 > 발급부수 : 국문 1통 > 수령기관 : 수령기관 검색 클릭 후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선택 > 민원신청하기 > 발급되었다는 문자 연락 받고 행정복지센터 방문 수령(신청 후 3시간 이내 발급)
★ 대학(교)·대학원 "졸업예정증명서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검색창에 졸업증명서 입력 > 대학(교) 졸업예정증명 신청 > 구분 : 대학(교), 대학원 중 선택 > 대학교(대학원) : 학교 검색 클릭 후 학교 선택 > 전공학과 : 입력 > 발급부수 : 국문 1통 > 수령기관 : 수령기관 검색 클릭 후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선택 > 민원신청하기 > 발급되었다는 문자 연락 받고 행정복지센터 방문 수령(신청 후 3시간 이내 발급)
★ 대학(교)·대학원 "휴학증명서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검색창에 휴학증명서 입력 > 휴학증명서 신청 > 구분 : 대학(교), 대학원 중 선택 > 대학교(대학원) : 학교 검색 클릭 후 학교 선택 > 전공학과 : 입력 > 발급부수 : 국문 1통 > 수령기관 : 수령기관 검색 클릭 후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선택 > 민원신청하기 > 발급되었다는 문자 연락 받고 행정복지센터 방문 수령(신청 후 3시간 이내 발급)
★ 사이버대·방통대 재학생일 경우만 - 대학(교)·대학원 "재학증명서" 발급 방법 : www.gov.kr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검색창에 휴학증명서 입력 > 재학증명서 신청 > 구분 : 대학(교), 대학원 중 선택 > 대학교(대학원) : 학교 검색 클릭 후 학교 선택 > 전공학과 : 입력 > 발급부수 : 국문 1통 > 수령기관 : 수령기관 검색 클릭 후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선택 > 민원신청하기 > 발급되었다는 문자 연락 받고 행정복지센터 방문 수령(신청 후 3시간 이내 발급)
③ 본인 「근로계약서」 또는 「고용·임금확인서」 (단기근로 여부와 사업장 소재지 확인용)
* 「근로계약서」 제출이 원칙이나,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「고용·임금확인서」(첨부파일 1 참고) 제출
* 사업장 소재지, 근로 시작·종료일 반드시 기재(근로 종료일이 기재되지 않은 경우 정규직으로 간주, 선정되지 않습니다.)
★ 근로 중인 사업장에서 교부(사업주, 근로자 서명 또는 날인 필수)
④ 본인 기준 고용보험 「근로자 부과내역 조회」 또는 「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」 (고용보험 가입 여부와 월 소득 확인용)
* 상용근로자 : 고용보험 「근로자 부과내역 조회」(첨부파일 2 참고) 제출 / 일용근로자 : 「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」(첨부파일 3 참고) 제출
* 고용보험 가입 이력 없는 경우 선정 제외합니다
* 출력할 근로년월 : 2021년 3월 ~ 발급일
★ 상용 근로자 - "근로자 부과내역 조회" 발급 방법 : https://total.kcomwel.or.kr/ > 로그인 > 개인 > 일반근로자 > 주민등록번호 입력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개인별 부과고지보험료 조회 > 보험년월 : 2021 > 사업장선택 : 돋보기 클릭 > 해당사업장 체크 > 조회 > 인쇄하기(즉시 발급)
★ 일용 근로자 - "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" 발급 방법 : https://total.kcomwel.or.kr/ > 로그인 > 개인 > 일반근로자 > 주민등록번호 입력 > 공동인증서 로그인 > 고용·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> 보험구분 : 고용 > 조회구분 : 일용 >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신청 클릭 > 증명원 출력(즉시 발급)
★ 온라인 발급이 어려울 경우,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 전화(1588-0075)하여 팩스 수신
⑤ 부양의무자 기준 「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」·「건강보험 자격확인서」 중 해당서류 (부양의무자 가구소득 확인용)
* 단, 부양의무자가 기초생활수급자로 건강보험료를 납부하지 않는 경우 「의료급여증명서」 제출
* 기준 중위소득 120% 월 건강보험료 납부액 (아래 금액을 초과할 경우 선정되지 않습니다.)
- 1인가구 : (직장) 75,224원 / (지역) 30,663원 / (혼합) 75,461원
- 2인가구 : (직장) 128,342원 / (지역) 117,560원 / (혼합) 129,761원
- 3인가구 : (직장) 165,968원 / (지역) 168,444원 / (혼합) 168,195원
- 4인가구 : (직장) 203,558원 / (지역) 216,474원 / (혼합) 206,575원
- 5인가구 : (직장) 237,681원 / (지역) 259,446원 / (혼합) 242,008원
- 6인가구 : (직장) 278,094원 / (지역) 309,041원 / (혼합) 286,737원
★ "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" 발급 방법 : www.nhis.or.kr > 로그인 > 개인 > (부양의무자 명의) 공동인증서 로그인 > 민원여기요 > 개인민원 > 보험료 납부확인서 > 건강보험 > 발급용도 : 납부확인용 > 국문/영문 선택 : 국문 > 발행신청년월 : 2021. 1. ~ 2021. 6. > 세부보험 : 건강·장기요양보험료 > 조회 > 출력(즉시 발급)
★ "건강보험 자격확인서" 발급 방법 : www.nhis.or.kr > 로그인 > 개인 > (부양의무자 명의) 공동인증서 로그인 > 민원여기요 > 개인민원 > 자격확인서(자격득실확인서와 다릅니다) > 자격확인서 취득내역 : 전부 클릭 > 프린트 발급(즉시 발급)
★ 온라인 발급이 어려울 경우,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전화(1577-1000)하여 팩스 수신
★ "건강보험 서류" 발급 방법 :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(1577-1000)으로 부양의무자 본인이 직접 전화 > 서류종류 : 납부확인서를 떼야할 지 자격확인서를 떼야할 지 잘 모르겠을 경우 두개 다 떼달라고 요청(발급 안 되는 서류는 제외하고 되는 것만 떼달라고 함, ※ 대상자가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일 경우 납부확인서가 발급되지 않음) > 발행신청년월 : 2021. 1. ~ 2021. 6. > 팩스 수신(즉시 발급)
추가서류(해당자만 제출)
㉮ 부양의무자(부·모 또는 배우자)와 주민등록 등본에 함께 등재되지 않은 경우 : 청년 기준 「가족관계증명서(일반)」
★ "가족관계증명서(일반)" 발급 방법 : http://efamily.scourt.go.kr > 가족관계증명서 > 위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. 체크 > 성명, 주민등록번호, 추가정보확인 입력 > 조회 > 공동인증서 암호 입력 후 확인 > 1. 발급대상자 : 본인 > 2. 증명서 종류 : 가족관계증명서 > 3. 일반증명서, 상세증명서, 특정증명서 : 일반증명서 > 4. 주민등록번호(뒷부분 6자리) 공개 여부 : 전부 비공개 > 5. 신청사유 : 개인 신분 또는 가족관계증명 > 발급하기(즉시 발급)
㉯ 미혼인 청년의 부모가 이혼 또는 사별한 경우 : 부 또는 모 기준 「가족관계증명서(상세)」 또는 「혼인관계증명서(상세)」
★ "가족관계증명서(상세)" 발급 방법(본인 인증서로도 발급 가능) > http://efamily.scourt.go.kr > 가족관계증명서 > 위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. 체크 > 성명, 주민등록번호, 추가정보확인 입력 > 조회 > 공동인증서 암호 입력 후 확인 > 1. 발급대상자 : 가족 > 부 또는 모 중 선택 > 2. 증명서 종류 : 가족관계증명서 > 3. 일반증명서, 상세증명서, 특정증명서 : 상세증명서 > 4. 주민등록번호(뒷부분 6자리) 공개 여부 : 전부 비공개 > 5. 신청사유 : 개인 신분 또는 가족관계증명 > 발급하기(즉시 발급)
㉰ 기혼인 청년이 이혼 또는 사별한 경우 : 청년 기준 「가족관계증명서(상세)」 또는 「혼인관계증명서(상세)」
★ "가족관계증명서(상세)" 발급 방법 : http://efamily.scourt.go.kr > 가족관계증명서 > 위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. 체크 > 성명, 주민등록번호, 추가정보확인 입력 > 조회 > 공동인증서 암호 입력 후 확인 > 1. 발급대상자 : 본인 > 2. 증명서 종류 : 가족관계증명서 > 3. 일반증명서, 상세증명서, 특정증명서 : 상세증명서 > 4. 주민등록번호(뒷부분 6자리) 공개 여부 : 전부 비공개 > 5. 신청사유 : 개인 신분 또는 가족관계증명 > 발급하기(즉시 발급)